: 이미 컴파일 된 바이너리를 역으로 컴파일해주는 툴이다. 역으로 컴파일하면 바이너리가 어셈블리어로 코드가 나타나거나 리소스 파일들이 추출된다. 대부분의 디컴파일러를 사용하려면 바이너리의 컴파일러와 해당 버전을 바이너리 분석 툴을 이용하여 알아내고, 해당 컴파일러를 지원하는 툴을 찾아서 실행만 하면 되도록 간단하게 되어있다.
* 바이너리가 패킹이 되어 있으면 해제하고, 컴파일러가 어떤 것인지 PEID와 같은 바이너리 분석 툴로 확인이 가능한 상태여야 한다.
1. 플래쉬 디컴파일러(sothink SWF Decompiler)
: SWF 파일을 디컴파일해서 원래 소스파일인 FLV 파일까지 만들어주며 액션스크립트를 추출하거나 내부 사운드, 이미지들까지 확인 가능하다.
* SWF 파일 : 어도비 플래시에서 멀티미디어, 벡터 그래픽, 액션스트립트 등을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파일 형식이다.
* FLV 파일 : 동영상 파일 포맷이다.
* 액션스크립트 : 스크립팅 언어로 주로 어도비 플래시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나 웹 사이트 개 발을 위해 사용된다.
2. 닷넷 프로그램 디컴파일러(Reflector)
: .NET로 제작된 프로그램의 원래 소스를 복원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3. 델파이 디컴파일러(DeDe)
: 델파이로 제작된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을 디컴파일해주는 프로그램이다.